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소식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발급 조건 혜택 비교

by 올더마트 2023. 7. 30.

이번 포스팅은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발급 조건과 신청방법을 알아보고 혜택까지 비교해보겠습니다! 정부에서는 매년 서민들을 위해 바우처 형태로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진료비, 기저귀·조제분유, 에너지바우처, 사회서비스 사업 등이 있는데요.

예전에는 이런 걸 제공 받으려면 하나씩 따로 신청해서 각각 바우처를 발급 받고 따로따로 사용해야 했습니다. 한 두개라면 크게 어려울 게 없지만 서너개가 넘어가면 관리하는 것도 까다롭고 분실 사고가 발생하는 등 다양한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는데요.

이에 따른 불편함의 목소리가 커지자 정부에서는 모든 사업을 하나의 카드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었는데 그게 바로 국민행복카드입니다.

이것만 있으면 보육료, 유아학비, 임신 및 출산 진료 등 다양한 분야에 아주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 발급 조건

카드 하나로 8개 분야의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고 했는데요.

여기에서 오해하시면 안 되는 부분이 이걸 발급 받는다고 해서 8개 분야를 무조건 다 받을 수 있는 게 아닙니다. 각각의 프로그램은 나름의 자격 조건을 갖춰야 받을 수 있는데요. 발급 조건과 신청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 대상: 확인서를 통해 임신이 확인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중 진료비 요청자

□ 혜택: 임신 1회당 진료비 100만원(다태아일 경우 140만원)

□ 신청: 건강보험공단 지사 또는 금융회사 영업점 방문, 온라인 발급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진료비

□ 만19세 이하 산모

□ 의료비, 처방 약제비 120만원

□ 사회서비스 전자 바우처 포탈(온라인만 가능)

사회서비스사업 8종

□ 산모·신생아, 장애인, 가사간병방문, 발달재활, 언어발달,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 위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이용권 지급

기저귀·조제분유

□ 기준중위소득 40%(최저생계비 100%) 이하 저소득층 영아(0~24개월) 가구

□ 24개월 동안 기저귀(월 64,000원), 기저귀 + 조제분유(월 150,000원) 구입비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또는 복지로(온라인)

에너지바우처

□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로서 노인, 영유아, 장애인, 임산부, 중증/희귀/중증난치질환자,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장

□ 세대원 수에 따라 차등지급(1인가구: 148,100원 / 4인 이상 가구: 372,100원)

□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온라인)

아이돌봄 서비스

□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의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취업 한부모, 맞벌이, 다자녀 가정)

□ 소득 수준별 차등 돌봄(영아종일제, 시간제)

□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법정 차상위계층, 한부모 가족 대상자에 해당하는 만 11세 ~ 만 18세 여성청소년

□ 월 13,000원 / 월 156,000원

□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첫만남 이용권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 아동

□ 바우처 포인트 200만원 지급

국민행복카드 사용처

아무 곳에서나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게 아닙니다. 분야별로 사용처가 정해져 있습니다. 워낙 많아서 여기에 다 옮길 수는 없고요.

네이버 등 포털 사이트에서 국민행복카드를 검색하셔서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에 메인 화면에 있는 [바우처 사용처]를 클릭하시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와 청소년산모 임신·의료비 분야는 지정요양기관이 폐지됐기 때문에 아무 요양기관에 가도 다 쓸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 신청방법

각각의 서비스는 위 내용을 참고해서 주민센터, 복지로 등을 통해 진행할 수 있고요.

카드 발급은 취급 기관을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취급하는 곳은 BC(농협, 우체국, 우리, 하나, 제일, 수협, 신협, IBK기업, 전북, 제주, 부산, 대구은행), 롯데, 삼성, KB국민, 신한입니다.

국민행복카드 혜택 비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프로그램 외에 각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혜택이 있기 때문에 잘 살펴 보시고 본인에게 맞는 걸 선택하시는 게 좋습니다.

각 회사별 특징은 아래 표를 통해 직접 정리했습니다. 참고해주세요.

지금까지 국민행복카드의 발급 조건과 신청방법, 혜택비교까지 알아봤습니다. 결혼을 앞두고 있거나 곧 자녀가 생기는 예비 부모님들께서는 이 제도를 잘 활용하셔서 출산과 육아를 잘 해내셨으면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